-척추를 구성하는 주요 근육들-

척추의 많은 근육이 움직임을 일으키거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가장 중요한 근육들 중 2가지는 복부 , 척추 신근입니다. 장요근과 요방형근도 일부 상황에서는 중요합니다.

 

 

복부 근육

복근은 오래전부터 더 납작한 복부를 만들고, 동작의 테크닉을 증진시키고, 특정한 자세 문제를 개선하고,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잠재력을 인정받아 왔습니다. 복근은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 등 4쌍의 근이 있습니다. 복근은 모두 복부의 중앙을 따라 수직으로 내려가는 힘줄 띠에 부착되어 있으나, 그 근섬유의 위치와 방향은 다 다릅니다. 복직근은 복부의 중심부에서 위아래로 곧게 주행합니다. 반면 외복사근은 중심을 향해 아래쪽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주행하며, 그 근섬유도 복직근의 측면으로 위치해 있다. 외복사근보다 깊이 있는 내복사근은 상부 섬유가 중심을 향해 위쪽으로 주행하며, 그 근섬유도 복직근의 측면으로 있습니다. 이 3가지 복근들이  동시에 수축하면 모두 척추 굴곡을 일으킬 수 있고 복직근이 더 강력하게 작용합니다. 이들 3가지 복근이 한쪽으로 수축하면 모두 그쪽으로 측면 굴곡을 일으킬 수 있고 복사근이 특히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복사근은 한쪽 수축으로 회전을 일으킬 수 있는데, 외복사근은 그 반대쪽으로 회전을 일으키고 내복사근은 같은 쪽으로 회전을 일으킵니다. 네 번째 복근인 복횡근 가장 심부에 있는 근육입니다. 그 근섬유는 복부를 가로질러 대략 수평방향으로 주행합니다. 따라서 이 근육은 회전을 도울 수는 있지만 척추 굴곡을 일으킬 수는 없습니다. 그 주요 기능은 자세를 잡는 것이며, 수축하면 복벽을 안쪽으로 당기고 복부 장기를 코르셋과 비슷하게 조여줍니다. 또한  이 근 육은 호흡을 보조할 수 있고 강제 날숨에 동원됩니다.

 


척추 신근

몸통 뒤쪽에 위치하며, 공통적으로 척추를 신전시키며, 뒤쪽으로 젖히는 역할을 합니다. 한때 복근의 힘을 강조하면서 무시되었던 이 중요한 근육은 움직임을 최적으로 수행하는 능력, 일부 등 부상, 골다공증 및 일주 자세 문제의 예방과 등 부상 후 성공적인 활동 복귀에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척추 신근은 척추기립근, 반극근, 후방 심부 척추 근육 등 3개의 근육군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척추 신근중 가장 강력한 척추기립근은 극근, 최장근, 장 늑근 등 3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척추기립근 보다 깊이 있는 반극근은 흉추 이상으로만 있습니다. 후방 심부 척추 근육인 극간근, 횡돌간근, 회선근과 다열근은 복횡근과 유사한 기능을 합니다. 그 주요 역할은 척추 안정화와 인접 추골에 대한 추골의 작은 움직임입니다. 이 근육 중 하나인 다열근은 척추의 안정화와 재활에 특히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른 심부 근육들 보다 더 많은 힘을 생성할 잠재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근 육의 사용은 흔히 강조됩니다. 이들 3가지 근육군 (척추기립근, 반극근과 후방 심부 척추 근육)의 양쪽이 수축하면 척추 신전이 일어나는 반면 한쪽 (극간근은 제외)이 수축하면 그쪽으로 측면 굴곡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요방형근과 장요근

요방형근과 장요근도 척추에 대해 중요한 작용을 하고 이러한 작용은 매트 운동에서 역할을 합니다.

이 두 가지 근육은 체간 근육에 속해 있지 않지만 허리 통증에  있어서 크게 관여하는 근육들입니다.

요방형근은 골반에서 시작해 요추의 양옆과 마지막 늑골에 부착되어 있다. 한쪽이 수축하면 요방형근은 그쪽으로 척추의 측면 굴곡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척추를 골반 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근육이며 호흡에도 관여합니다.

장요근은  대요근, 소요근 , 장골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주 강력한 근육으로 주로 다리를 앞으로 높이 들어 올리는 능력  고관절 굴곡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장요근은 척추에 부착되어 있어 요추에 요구되는 정상적인 굴곡의 유지를 돕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요추의 측면 굴곡을 보조할 수 있습니다.  장요근이 약해지면 외복사근이 골반의 전방으로 잡아당겨 골반이 외측으로 회전되어 발을 넓게 디딜 수없게 됩니다. 이 문제로 인하여 골반의 위치가 앞으로 기울어지면 골반의 전방 경사를 유도하게 되어 앞으로 과도하게 휘는 요추의 전만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