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이 무너진 '평발 또는 편평족 (flat foot)'
평발은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낮아진 상태이며 아치가 매우 낮거나 표면에 발이 서있을 때 완전히 평평하게 되어 평족이라고 부릅니다. 족부 변형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주변 인대나 근육, 아킬레스건과 함께 과도하게 긴장하여 손상되기 쉽습니다. 평발은 단순히 발의 피로도만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균형을 무너뜨리기 때문에 꼭 교정을 해야 합니다. 평발 정도가 심할 경우 무릎 및 고관절 허리에도 영향을 주고 퇴행성 관절염 등 2차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평발은 오래 걷거나 뛰면 쉽게 발이 피로해지고 발뿐만 아니라 무릎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둔한 통증이 발바닥과 발목에서 나타나고 족저근막염이나 무지외반증과 같은 족부 질환으로 발전되기도 합니다.
평발은 유연성 평발과 강직성 평발로 나눌 수 있는데 유연성 평발은 정상적인 아치를 가지고 있다가 체중을 부하하면 무너지는 상태로 발의 근력을 키우면 회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강직성 평발은 체중부하 유무에 상관없이 항상 편평한 상태로 선천적으로 뼈의 기형이 있거나 뼈에 관절이 딱딱하게 붙으며 구조적인 문제로 아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평발의 증상으로 흔히 말하는 평발은 강직성 평발을 말하는데 틍증이 생기거나 발을 자주 삘 수 있습니다. 발뒤꿈치가 바깥쪽으로 향하고 발 앞쪽이 바깥쪽으로 향하게 됩니다. 주로 신발 안쪽으로 체크하면 신발이 닳았으며 위에서 말한 것처럼 장시간 걸음과 운동 시 발목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평발은 뒤꿈치를 보면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고 발 앞쪽이 바깥쪽으로 휘고 발의 안쪽이 튀어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엄지발가락을 올려서 아치가 나타나면 유연성 평발이고 그렇지 않으면 강직성 평발로 자가진단을 해볼 수 있습니다.
만약 평발은 통증은 없고 피로만 느껴지는 가벼운 증상이라면 체중 부하를 정상적으로 부하하기 위해 신발 내에 깔창이나 아치패드를 착용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발목 근육 아킬레스건이 짧아진 상태라면 스트레칭으로 이완시켜주고 또한 아치 부근의 근육들을 강화시켜 줄 수 있습니다. 발가락을 움직여 후 경골근 강화를 목적으로 개선해야 하며 통증이 있을 시 지나친 체중부하는 피하도록 해야 합니다.
발등이 올라간 '요족(cavus foot)'
요족은 발바닥의 아치가 정상보다 높이 올라온 상태를 말하며 발등이 과하게 올라온 거처럼 생기게 되며 까치발을 하고 있다고 표현합니다. 이런 경우 아치가 높아짐에 따라 발바닥에 고루고루 분산되어야 할 체중이 분산되지 못하고 발 앞쪽으로 쏠려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요족은 발바닥이 높아서 걸을 때 발뒤꿈치의 충격이 발의 앞쪽으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발바닥 앞쪽에 통증이 심해지고 굳은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것이 걷는 데에 장애를 발생시키고 발가락이 구부러지는 갈퀴 족지가 나타나며 발목이 자주 삘 수 있습니다. 그래서 발목 인대 파열과 만성 발목 불안정증, 발목 연골 손상이 생길 수 있으며 요족을 교정하지 않으면 발의 모양이 변형될 뿐만 아니라 종아리 근육이 경직되고 발전체에 통증을 일으키며 또 허리나 척추에 까지 무리가 되어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원인을 발견하기 어려웠지만 현재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검사하여 원인을 어느 정도 찾을 수 있으며 성인에게 나타나는 요족은 대부분 신경근육성 질환이라고 합니다. 또한 외상 후에 발쪽 골절이 생긴 후 뼈가 잘못 붙은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요족은 다른 평편족과 달리 잘 알려지지 않아서 인지하는 것이 늦어져 방치하게 되는데 그사이에 요족은 다른 합병증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그런 부분에서는 요족은 평발보다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발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이상이 있으면 전문의를 찾아서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심할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변형을 교정하나 상태에 따라서 비수술적으로 치료가 가능합니다. 마사지, 신발 깔창 등을 활용하여 체중을 분산시켜 교정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높아진 아치로 인해 뻣뻣해진 발바닥과 종아리 근육을 이완해주는 스트레칭과 발목의 안정성을 잡아주는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재활 운동을 진행하여 정상적인 발목을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사람의 신체는 다 이어져 있기 때문에 발이 무너진다면 위로 올라가는 무릎, 골반, 척추 등 불균형이 생길 수 있습니다.
만약에 발목의 통증이 발생하고 안정성이 떨어진다면 통증을 잡고 안정성을 잡을 수 있도록 보존적인 도움을 받거나 개인의 발목에 따른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체형,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 뒤꿈치 통증은 족저근막염 (0) | 2022.01.11 |
---|---|
발에 생기는 흔한 질병 무지 외반증 (0) | 2022.01.10 |
흰 다리의 종류 O자, X자 다리 형태 (0) | 2022.01.06 |
무릎의 통증 원인은 무릎의 과한 사용 (0) | 2022.01.05 |
유독 밤에만 심해지는 손목 통증, 그 이유는?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