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의 과학적 접근으로 이해해보자
호흡은 마음과 몸을 연결하는 대부분의 운동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많은 필라테스 전문가가 이 운동법의 수행에서 가자 중요한 것이라고 받아들였습니다. 특정한 호흡 패턴에 대해, 또는 정해진 호흡 패턴이 필요한지에 대해 논의와 때로 이견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운동에 호흡이 중요하다는 점을 반박할 사람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으며, 호흡을 더 잘 이해하면 운동으로부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호흡계의 주 기능은 신체에 산소를 전달하고 거기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신체의 모든 세포는 생존을 휘해 산소를 필요로 하지만, 신체가 세포의 대사산물인 이산화탄소를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건강한 사람의 호흡에 가장 중요한 자극이 됩니다. 호흡은 적어도 4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첫 2가지 과정인 '외호흡에서는 외부 공기가 폐로 (폐 환기)그리고 페예서 혈액으로 (폐 확산) 유입되고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납니다. 다음 2가지 과정에서는 순환계를 통해 가스가 근육 같은 조직으로 운반되고 모세혈관과 조직 세포 사이에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일어나게 됩니다.
신체 호흡계 기관의 해부학 구조
구조적으로 호흡계는 크게 두 부분, 즉 상기도와 하기도 로 나눌 수 있습니다. 상기도는 강과 관(비강, 구강, 인두와 후두)이 서로 연결된 부분으로 공기가 하기도 로 들어가는 통로가 됩니다. 또한 상기도는 공기가 하기도의 마지막 부분에 도달하기 전에 공기를 정화하고 덥히며 가습 하는 작용도 합니다. 하기도(기관, 기관지, 세기관지와 폐포)는 가스 교환이 일어나게 하는 구조물에서 끝나며, 여기에는 약 3억 개의 폐포 및 이와 과년된 광범위한 모세혈관 망이 있습니다. 폐포의 벽은 아주 얇아서 단순한 확산에 의해 산소가 폐포에서 아주 작은 폐 모세혈관으로 그리고 이산화탄소가 폐 모세혈관에서 페포로 쉽게 이동하도록 합니다.
호흡이라 하는 폐 환기의 역학
폐환기는 2단계로 이루어집니다. 공기가 폐로 유입되는 과정을 들숨 또는 흡기라 하고, 가스가 폐에서 배출되는 과정은 날숨 또는 호기라 합니다. 본적으로 폐 환기는 흉강의 용적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압력 변화하며, 그 결과 가스의 흐름이 일어나 압력이 균등해지는 기계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압력의 변화에 필요한 용적 변화는 흉부의 구조 (흉골, 늑골, 늑연골과 추골)가 큰 도움을 줘 일어납니다. 늑골과 척추는 들숨 시에 위쪽과 바깥쪽으로 그리고 날숨시에는 아래쪽과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절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들숨
들숨은 호흡근, 특히 횡격막이 활성화되어 시작됩니다. 돔 형태의 횡격막이 수축하면 횡격막은 납작해져 흉강 높이가 높아집니다. 외 늑간근은 흉곽을 들어 올리고 흉골을 앞으로 당기는 작용을 합니다. 늑골의 이동은 중간 흉부와 하흉부의 늑골이 보다 측면으로 용적을 증가시키고 상부 흉강의 늑골이 흉강 용적을 보다 전후 방향으로 증가시키도록 일어납니다. 이러한 호흡근에 의해 흉강의 용적이 증가하면 폐의 폐포 내 압력이 외부 기압보다 더 낮아진다. 그래서 폐내압이 기압(체외 공기에 의한 압력)과 동일 해질 때까지 공기가 폐로 유입됩니다.
또한 폐의 확장은 2개의 중요한 막 사이의 표면장력과 관련된 메커니즘이 도움을 줘 일어납니다. 이 2개의 얇은 막은 '흉막'이라고 합니다. '장측 흉막'은 폐를 감싸며, '벽측 흉막'은 흉벽의 내면과 횡격막을 덮습니다. 이두 흉막 사이에 흉막강이 존재합니다. 이강은 밀폐되어 있고 소량의 체액을 함유합니다. 흉벽이 확장되면 폐는 바깥쪽으로 당겨, 흉막강의 음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폐의 외막이 흉벽 내막에 붙습니다. 격렬한 운동을 하거나 일부 폐질환이 있는 경우와 같이, 폐환기 요구가 증가하면 기타 많은 보조 근육이 활성화되어 이상에서 설명한 2가지 과정을 돕습니다.
날숨
조용한 날숨은 주로 수동적이며, 폐조직의 탄력적인 반동 및 호흡근의 이완과 관련된 변화에 의존합니다. 횡격막은 이완되면서 흉부로 올라가고 늑골은 늑간이 이완되면서 내려가며, 흉강 용적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다시 외부 기압에 비해 폐내압을 증가시켜, 결국 공기가 폐에서 체외로 빠져나갑니다. 그러나 폐환기 요구가 증가하는 경우와 같이 강제 날숨을 쉴 때에는 많은 근육의 능동적 수축이 수동적 메커니즘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필라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중에 필라테스 운동이 가능할까요? (2) | 2021.12.25 |
---|---|
필라테스 가면 듣는 말 "호흡하세요" (2) | 2021.12.14 |
필라테스에서 중요시하는 “6대 원칙” (2) | 2021.12.13 |
조셉, 그가 고안한 운동요법의 효과 (3) | 2021.12.12 |
필라테스란 (5) | 2021.12.11 |